- 입시열풍은 '입시 열풍'으로 띄어 쓴다.
- 웰메이드는 '잘 만들어진, 잘 제작한'으로 순화한다. 가능하면 영어로 된 표현을 그대로 음차해서 쓰기보다는 그에 맞는 우리말을 쓰는 편이 의미 전달에 유익하다.
- 허황되다는 허황하다와 같은 뜻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둘 다 표준어로 허용하고 있지만 '허황'이 본래 형용사의 어근이므로 가능하면 '허황하다'를 써 준다. 부사형은 '허황히'이다.
- 찌질하다는 표제어가 아닌 속어이므로, '멍청하다' 등으로 쓴다.
- '제몫'에서 제와 몫은 띄어 써야 한다.
- '~을 이루고 있는'이라고 할 때, 용언의 행동이나 그 변화된 상태가 이어진다는 의미를 더하는 보조용언 '있다'가 불필요하므로, '~을 이루는'으로 써도 충분하다.
- '니가'는 '네가'의 사투리. 구어체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 '초등학교에 입학을 했습니다' 보다는 '초등학교에 입학했습니다'로 쓰는 게 자연스럽다.
- 이쁘다는 '예쁘다'를 잘못 쓴 예이다.
- '그들 입장에서도'보다는 '그들로서도'나 '그들 처지로서도'로 쓴다. 입장의 순화어는 처지이다.
- 이태리, 불란서, 서반아, 노서아, 비로 같은 음역어보다 이탈리아, 프랑스, 에스파냐, 러시아, 페루로 써 주는 것이 외래어표기법에 맞다.
- '연극중에서'에서 '중'은 '연극 중에서'처럼 띄어 쓴다.
2010년 2월 16일 화요일
띄어쓰기와 그 외 맞춤법
2010년 2월 12일 금요일
국어 맞춤법 1
- 2월말 행사가 -> 2월 말 행사가
- 너와 나 모두다 -> 너와 나 모두 다
- 갈 수 있는 기회가 있다. -> 갈 기회가 있다.
(기회에 이미 가능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굳이 중복하여 쓸 필요가 없다.) - 코칭을 받다 -> 지도를 받다, 상담을 받다 (순화해서 쓰면)
코치(표준국어대사전)에 이미 지도하여 가르친다는 뜻이 들어 있으므로 '코치를 받다'라고 써도 된다. - 워크샵이 없다 -> 워크숍이 없다
(표준국어대사전 표제어인 외래어를 기준으로 하되, 표제어에 없으면 국제 음성 기호(IPA)에 따른 외래어 표기법을 참조한다.)
워크숍(표준국어대사전) - 여러분들을 보면 -> 여러분을 보면
(여러분이 이미 너의 복수형이므로 들을 쓸 필요가 없다.) - 심장이 벌렁거리다 -> 심장이 벌름거리다
- 참여가 가능하다 -> 참여할 수 있다
참여가 불가능하다 -> 참여할 수 없다
(가능, 불가능은 It is possible/impossible to(또는 that)~ 에서 온 번역투의 문체로 고치는 것이 좋다.)
2010년 2월 9일 화요일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