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사이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사이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7월 19일 월요일

뮤직쉐이크

소셜 컴퓨팅, 소셜 웹 기획과 관련해서 여러 아이디어를 찾다가,
온라인으로 미디 파일 같은 걸 작곡해서 공유하는 사이트면 어떨까 하다가
혹시 이미 있지 않을까 해서 찾아봤는데, 뮤직쉐이크라는 국내 사이트가 있었네요.

프로그램으로 곡을 만들고 (윈도 운영체제와 익스플로러만 지원하는 점이 조금 안타깝네요.)
mp3로 다운로드하게 만들 수 있네요. DB가 감당해야 할 용량은 크지만,
많은 사람들이 즐겨 이용하는 것 같네요.

2010년 5월 21일 금요일

국립국어원 사이트에 관하여

국립국어원 사이트의 주소를 보면  
 http://korean.go.kr/09_new/ 
라고 되어 있습니다.  09라는 숫자는 2009년에 새로 레이아웃을 갱신하여 내놓았다는 의미로 추정되는데요.
http://korean.go.kr/index.jsp
에서 하위 경로로 리다이렉트하고 있는데요.
이 사이트의 주소 문제점은, 콘텐츠에 대한 퍼머링크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어문 규정이나 외래어 표기법 같은 경우에는 다른 사이트에서 참조나 인용 등이 많이 되는데 거의 해마다 이렇게 주소를 바꾸어 버리면, 기존 링크는 엉뚱하게 페이지를 찾을 수 없게 되는 것이죠.

홈페이지를 개편하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매번 이렇게 국립국어원의 내부 사정만 생각하고 퍼머링크를 바꾸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퍼머링크가 있다면 다른 사람들도 국립국어원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어문 규정을 홍보하고, 사람들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의 목적 중 하나가 아닌가 싶네요.

반면 표준국어대사전을 온라인으로 공개한 것은 정말 마음에 듭니다. 이 부분은 아직 퍼머링크도 바뀌지 않고, 방대한 내용을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어 간편하네요. JavaServer Pages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지는 않지만요.

네이버 국어사전처럼 앞단어 끝단어 자동완성 기능도 제공하면 더 좋겠습니다. CodeProject의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만 지키면 되고, CCL은 공감코리아 같은 정부 사이트에서 이미 사용해 왔으니 도입하는 데 별 문제는 없을 것 같네요.

2010년 4월 29일 목요일

PC 통신, 포털 사이트 모음

PC 통신을 제공했던 포털사이트 목록

  1. 파란, 구 하이텔, 한미르
  2. 신비로 최근 공지 보니 휴면 계정 삭제하는 듯
  3. 나우누리 클럽이 그나마 발달한 듯
  4. 유니텔 지금도 PC 통신 접속 제공하는 거의 유일한 곳
  5. 천리안 채널아이 인수
  6. 네이트 넷츠고, 라이코스 코리아, 엠파스 인수

그냥 한국의 포털사이트, 순서는 의미 없음.
  1. 구글
  2. 네이버
  3. 네이트
  4. 다음
  5. 드림위즈
  6. 야후 코리아
  7. 코리아닷컴
  8. 네띠앙 (2007년 9월에 재개장함)
  9. 하나포스닷컴(지금은 SK브로드밴드가 운영)
  10. 드림엑스 (SK와의 계약 만료로 하나로드림이 하나포스에서 다시 분리한 포털사이트)
  11. 프리챌
  12. MSN